브랜딩 바이블

[브인다움#11] 브랜드 아이덴티티 설정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점 본문

브인다움

[브인다움#11] 브랜드 아이덴티티 설정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점

지브인 | 작은 브랜드의 성장을 돕는 브랜드 2022. 9. 13. 22:02
728x90

012345
<브인다움#11 - 브랜드 아이덴티티 설정 시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점>

[본문]

[1]

지난 브인다움#6에서 언급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해 조금 더 부가적인 설명을 하려고 한다.
보통 브랜드 정체성을 정의할 때 ‘정’의 방향만 생각한다.

[2]

‘정’의 방향이란 건 예를 들어 우리 브랜드가 추구하는 바를 ‘정’이라고 하면 우리 브랜드가 지양해야하는 바는 ‘반’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사고할 때 정방향으로

[3]

사고하는 경향이 있어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방향만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반’방향을 통해서도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4]

예를 들어 2030년까지 나의 자산을 30억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면 어떻게 자산을 늘릴지만 생각하는데 이와 동시에 어떻게 소비를 줄일 것인지도 고려해야한다.

[5]

이처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설정할 때 제외시켜야 하는 것들도 함께 고려한다면 그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더 명확해질 수 있으니 ‘반’의 방향도 고려해보는 게 어떨까?

 

[부연]

우리는 보통 어떤 것을 생각할 때 정방향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게 사고하는 방식이 일상적이고 뇌에도 크게 자극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설정할 때도 보통 우리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 우리가 지향해야하는 점, 우리 컨셉에 맞는 행동 등 정방향으로 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반의 방향도 고려한다면 좀 더 명확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설정한다고 했을 때, 이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가 천연성분이라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이 브랜드가 지양해야하는 가치들은 화학성분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이 브랜드가 브랜딩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만약 정방향인 천연성분만을 고려했다면 고객들에게 전달하는 메시지가 천연성분만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것이다. 하지만 반방향인 화학성분도 고려했다면 화학성분을 사용하지 않는 캠페인이나 이와 관련된 심각성 등을 고객에게 메시지로 전달할 수도 있다.

실제 정방향보다 반방향을 고려하여 제작한 메시지가 고객들에게 더 강하게 인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방향으로 생각해봄으로써 우리 브랜드가 하지 말아야하는 행동이나 규칙들이 정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향후 브랜딩을 실행해나가는데 있어서도 중요하다.

따라서 브랜드 정체성에서 제외할 요소도 정의한다면 그 브랜드가 어떤 가치를 내세우는지 명확해질 수 있기 때문에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설정할 때 정방향 뿐만 아니라 반방향을 고민하는 것도 추천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