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딩 바이블

[브인다움#13] 전문가는 실험을 통해 탄생한다 본문

브인다움

[브인다움#13] 전문가는 실험을 통해 탄생한다

지브인 | 작은 브랜드의 성장을 돕는 브랜드 2022. 9. 17. 18:00
728x90

0123456789
<브인다움#13 - 전문가는 실험을 통해 탄생한다>

[본문]

[1]

요즘 인스타에서 많은 계정들과 교류하면서 자주 눈에 띄이는 
단어가 있다.

재태크 전문가,
부동산 전문가, 동기부여 전문가, 사업 전문가 등 전문가 이다.

[2]

대학생 때만해도 전문가라고 하면 그 분야에서 적어도 10~20년은 활동해야하고

사회적 증거가 있는 사람을 떠올렸다. 하지만 요즘 
내가 생각하는 전문가는 다르다.

[3]

내가 생각하는 일종의 전문가는 
실험가이다. 실험가도 그냥 실험가가 아닌 데이터가 많이 쌓여 


자신만의 결론을 많이 가지고 
있는 실험가이다.

[4]

창업이나 사업도 일종의 실험이다. 고객이 필요할 것 같은 거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이를 제공했을 때 만족하는지를 검증해나가는 실험이다. 

[5]

이런 관점에서 전문가의 정의를 내려보면 나보다 그 분야에 대해 이미 수차례 가설검증을 
하여

그 실험에 대한 많은 데이터 및 결과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바로 전문가라고 생각한다.

[6]

그렇기 때문에 어떤 분야에 오래있었다 할지라도 실제 실험이 아닌 이론만 되풀이해왔다면

이런 
관점에서는 전문가가 아닐 수 있다. 반대로 그 분야에 오래있지 않았지만 그 누구보다

가설검증을 많이 하여 이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많이 가지고 있다면 전문가라고 본다.

[7]

이전 환경에 비해 이런 실험을 할 수 있는 접근성이 높아져 전문가가 되는 게 어려워지지 않는 거 같다.

[8]

그렇다면 나는 전문가일까?
자신있게 아니라고 답할 수 있다. 실험을 많이하지 않았고

결과가 나오려면 기간이 오래걸리고 아직 많은 사람들이 사랑하는 브랜드를 제작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9]

앞으로 다양한 프로젝트(시도)를 통해 존재감 있는 브랜드를 만들어서 향후에는 전문가로 불리고 싶다.

 

[부연]

요즘 인스타를 하면서 정말 많은 분들이 스스로를 전문가라고 프로필에 소개하는 분들이 많이 보인다. 확실히 이전에 비해 전문가가 되기 쉬워진 환경이자 시대에 살고 있는 거 같아 일반인과 전문가의 경계가 흐려지는 거 같다.

하지만 요즘 내가 생각하는 전문가의 개념은 명확하다. 전문가는 그 분야에서 많은 실험을 하여 그 실험에 대한 데이터나 결과치를 많이 가지고 있어 자신만의 결론이 있는 사람이다.

사실 우리 모두는 실험가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를 만들 때도 이런 타겟한테는 이런 콘텐츠의 반응이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우고 포스팅 한후 그 결과를 보면서 검증해나가는 실험을 한다.


창업이나 사업도 마찬가지이다. 내가 설정한 목표 고객이 이러한 제품/서비스가 필요할 거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판매를 통해 검증을 하는 실험을 하는 거다. 그 안에서 계속해서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더 나은 가설을 수립하고 증명해나가면서 발전한다.

따라서 전문가라고 하면 그 분야에 오래있었는지 짧게 있었는지 여부로 판단하기 보다 그 사람이 얼마만큼 실험을 많이 해봐서 그 사람만의 결론이 많이 있는지 여부로 판단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측면에서 나는 아직 전문가가 아니다. 전문가가 되려면 아직 더 많은 실험을 해봐야하고 이 업의 특성 상 단기간 내에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많은 사람들한테 사랑받는 브랜드를 제작한 경험이 없기 때문에 전문가라고 보기 어렵다.

그래서 앞으로 더 다양한 프로젝트(시도)를 통해 나만의 결론 같은 게 도출되면 그걸 기반으로 많은 사람들 마음 속에 존재감 있는 혹은 공감줄 수 있는 브랜드를 만들어보고 싶다. 꽤 오랜 기간이 걸리겠지만 그렇게 된다면 그 때는 전문가라고 불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