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브랜드컨설턴트
- 회고록
- 브랜드전략
- 퍼스널브랜딩
- 스타트업마케팅
- 브랜드철학
- 브랜드에이전시
- 브랜딩컨설팅
- 스타트업브랜딩
- 브랜드컨설팅
- 브랜딩
- 브랜더지브인
- 지브인
- 브랜드마케팅
- 브랜드디자인
- 패키지디자인
- 브랜드기획
- 브랜드개발
- 스타트업
- 내부브랜딩
- 창업
- 브랜드가치
- 로고
- 작은브랜드
- 브랜드교육
- 브랜드
- 브랜드실무
- 스몰브랜드
- 1인사업가
- 브랜드컨셉
- Today
- Total
브랜딩 바이블
[브인다움#79] 나만의 브랜딩 실력 향상 시키는 3단계 본문
[1]
최근 메일 한 통을 받았다.
현재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직장인 분이었다.
아이디어만 있고 어떻게 브랜드를 만들어야할지 모른다는 게 주요 골자이다.
[2]
보통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나'라는 안에서부터 그 아이디어와 아이템을 바라본 시간이 부족해서이다.
나에 대한 파악이 안되어 있는 상태에서 나만의 정체성이 있는
브랜드를 만든다는 것은 매우 역설적이다.
[3]
이런 경우에는 브랜딩 전문가 할아버지한테
컨설팅을 받는다고 해도 답을 찾지 못할 확률이 높다.
[4]
그 이유는 답은 내 안에 있다.
따라서 나다움을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한다.
나만의 기준, 취향, 색이 강하면 강할수록
내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강해지기 때문이다.
[5]
문의주신 분 또한 이런 나다움을
어떻게 찾는지 어려워하셔서
아래 3단계로 답변을 대신했다.
[6]
STEP 1. 경험하기 (많이)
- 실제 다른 브랜드 제품을 사용해보고 오프라인 매장도 경험해보면서
나는 어떤 측면에서 이
브랜드를 좋아하지 혹은 싫어하지를 판단해본다.
- 처음에는 이것저것 다 좋게 느껴질 수 있어 판단하기 어렵다면
내가 좋지 않다고 느끼는 것들을 먼저 발견하는 게 더 쉽다.
[7]
STEP 2. 분석하기 (TPO기준)
- 이렇게 경험한 후에는 반드시 분석해야한다.
- 이런 타이밍에 (T)
- 이런 공간(온오프라인)에 (P)
- 이런 상황(O) 에서 경험하니 이랬다.
‘그 이유는 이러하기 때문이다’를 기록해놓고 일정시간 지나고
회고해보면 어렴풋이 나만의 기준이 보인다.
[8]
STEP 3. 가정하기 (만약에)
- 마지막으로 나만의 기준을 가지고 가정해본다.
- ‘이 브랜드는 이런 것이 강점이라고 보는데 이
부분은 이렇게 되어 있네?
만약에 내가 이 브랜드 디렉터 혹은 담당자라면 이 강점을 더 매력적으로 보이거나
메시지를 잘 전달할 수 있게 이렇게
하겠다’ 식의 가정을 해보는 것이다.
[9]
이 3단계에 따라 나만의 브랜드 오답노트를 만들어놓으면
기준이 명확해지고 이게 곧 우리 브랜드의 정체성 정립에도
직결되니 지브인분들도 해보시길 추천드린다.
'브인다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인다움#81] 인스타로 본 망한 브랜드들의 1가지 공통점 (0) | 2023.04.20 |
---|---|
[브인다움#80] 보이는 것에 대한 일관성 보다 더 중요한 이것 (0) | 2023.04.18 |
[브인다움#78] 나만의 소통 방식을 찾아 떠나는 여정 (0) | 2023.04.06 |
[브인다움#77] 작다는 것을 단점이 아닌 이점으로 활용한 브랜딩 (0) | 2023.04.04 |
[브인다움#75] 요즘 내부브랜딩은 이것을 인정해야한다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