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타트업
- 브랜드전략
- 브랜딩컨설팅
- 브랜드컨설턴트
- 회고록
- 브랜드
- 브랜드컨셉
- 브랜드실무
- 1인사업가
- 작은브랜드
- 브랜드마케팅
- 패키지디자인
- 스타트업마케팅
- 스타트업브랜딩
- 브랜드기획
- 브랜드교육
- 내부브랜딩
- 브랜더지브인
- 브랜드가치
- 브랜드개발
- 브랜딩
- 로고
- 창업
- 브랜드컨설팅
- 퍼스널브랜딩
- 브랜드철학
- 브랜드에이전시
- 스몰브랜드
- 브랜드디자인
- 지브인
- Today
- Total
목록브인다움 (115)
브랜딩 바이블

[1] 우리는 보통 브랜드를 만든다고 한다. 브랜드와 관련된 추상적인 요소들을 정의하고 이를 시각화함으로써 실체화시킨다. [2] 브랜드의 정의는 다양하지만 공통된 내용은 브랜드를 만든 사람이 아닌 상대방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이미지라는 것이다. 즉, 브랜드는 상대방이 우리를 어떻게 인식 혹은 기억하느냐로 형성된다. [3] 상대방에게 우리를 인식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등이 되는 것이다. 1등이 정답은 아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베스트 상품을 구매하고 판매량이 높은 순 필터를 사용한다. [4] 왜냐하면 1등이니깐 믿을만하겠지, 사람들이 많이 사는 이유가 있겠지, 따지는 건 귀찮고 잘 모르니깐 최소한 실패는 안하겠지 등 1등이 주는 이미지가 있기 때문이다. [5] 그렇다면 작은 브랜드가 1등하려면 어..

[1] 세상에는 절대적인 것보다 상대적인 것들이 훨씬 많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개념들도 상대적인 것들이 대부분이다. [2] 특히 추상적인 것들은 더더욱 그럴 확률이 높고 나 스스로 착각하는 경우도 많다. 전문성이라는 단어가 앞의 얘기를 설명하기 가장 좋은 예시이다. [3] 어떤 사람이 전문성이 없다고 생각한 사람이 내가 봤을 때 전문성이 있다고 느낄 수 있다. 이렇게 다르게 느끼는 이유는 아마도 그 사람으로부터 제공받은 가치가 무엇이었고 그 가치가 존재했냐 안했냐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4] 여기서 생각해볼 수 있는 2가지가 있다. 우리 브랜드가 제공할 수 있는 가치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걸 느낄 수 있는 상대방이 누구인지이다. [5] 많은 분들이 꼭 전문성이 있어야만 브랜드를 만들 수 있다고 ..

[1] 몰입과 원씽이라는 단어는 지브인들한테 매우 필요한 단어다. 나만의 무언가를 쌓아나가려면 하나에 집중하는게 효율적이다. [2] 하지만 지나친 몰입은 그곳에 갇히게 되고 유연한 사고와 관점을 형성하는데 방해되기도 한다. 그래서 의도적으로라도 나와 다른 분야 혹은 새로운 환경에 노출시켜 우물 밖의 개구리가 되어야한다. [3] 최근 20K 이벤트 때 협찬을 제안주셨던 지브인분들과 커피챗을 했다. 지브인답게 각자 브랜드의 미션과 역할들이 명확했고 그들의 현황과 고민 등을 들을 수 있었다. [4] 커피챗 주제 중 다음과 같은 질문들이 있었다. "아직 초기 브랜드라 어떻게 우리 제품을 경험하게 하고 알려야하는지 모르겠어요" "우리 제품은 시장에 없는 새로운 제품이라 사람들이 생소해서 관심을 주지 않아요"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