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브랜드디자인
- 브랜딩컨설팅
- 지브인
- 스몰브랜드
- 브랜드컨셉
- 로고
- 스타트업
- 퍼스널브랜딩
- 브랜드컨설팅
- 브랜드기획
- 브랜드마케팅
- 1인사업가
- 회고록
- 브랜드가치
- 브랜드실무
- 브랜드에이전시
- 브랜드전략
- 브랜더지브인
- 브랜드교육
- 브랜드개발
- 창업
- 작은브랜드
- 패키지디자인
- 내부브랜딩
- 스타트업마케팅
- 브랜드컨설턴트
- 브랜드
- 브랜딩
- 브랜드철학
- 스타트업브랜딩
- Today
- Total
브랜딩 바이블
[브인다움#16] 브랜딩을 온전히 정의한다면 무엇일까? 본문
[본문]
[1]
지난 브인다움#2에서 마케팅과 브랜딩이 다른 이유에 대해 얘기하면서 브랜딩이란 무엇인지 간단하게 작성했다.
이번에는 브랜딩에 대해 조금 초점을 맞춰 얘기해볼까한다.
[2]
이전에 내가 정의했던 브랜딩은 아래와 같다.
‘브랜딩은 브랜드를 형성 혹은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브랜딩은 남들과 확연하게 구분될 수 있는 것들을 정의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브인다움#2 마케팅과 브랜딩은 다르다」
2022.08.22 - [브인다움] - [브인다움#2] 마케팅과 브랜딩은 다르다
[브인다움#2] 마케팅과 브랜딩은 다르다
[1] 용어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마케팅은 Market + ing이고 브랜딩은 Brand + ing이다. 두 단어다 진행 혹은 과정이라는 ing가 포함되어 있다. [2] ing 단어를 가지고 딥다이브하면 마케팅은 시장을 형
brander-gbi.tistory.com
사실 위의 정의는 반쪽짜리 정의다.
[3]
브랜드를 만드는 내부입장만 고려했기 때문이다. 외부입장인 고객관점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럼 온전한 정의는 무엇일까?
다음 상황으로 설명해볼까한다.
[4]
브랜더 지브인은 자신을 ‘지브인’이라고 생각하며 매일 충실히 살아왔습니다. 어느날 오랜만에 동창들과 함께 술잔을 기울이며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깜짝 놀란 사실을 알게 됩니다. 많은 동창들이 자신을 ‘지구인’라고 생각해왔기 때문이죠.
그는 ‘지브인’이 좋은데 말이죠. 그래서 그는 깊은 고민에 빠집니다. 왜 주변 사람들은 ‘지구인’으로 인식해왔을까.
고민 결과, 2가지 원인 때문이라고 판단합니다.
1) 그는 자신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해 정체성이 약하다
2) 주변 사람들이 ‘지브인’에 대해 잘못 알고 있다.
[5]
그래서 그는 오랜 시간이 지나도 기억되고 싶은 ‘지브인’과
주변 사람들이 잘못 그에 대해 알고 있는 ‘지구인’ 간의 GAP을
줄이기 위해 파악한 2가지 원인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해결방안을 생각합니다.
1) ‘지브인’에 대한 정확한 파악 및 정체성 정립
2) ‘지브인’이 되기 위해 무슨 생각을 해야하고 무슨 행동들을
해야하는지 정의
3) 주기적으로 주변사람들과 소통하여 피드백을 받아 생각과 행동 을 수정해나가는 것
[6]
그는 3가지 해결방안을 가지고 오랜 기간 동안 실행해왔습니다. 그로부터 10년 후, 그는 다시 오랜만에 동창들을 만나 자신이 어떤 사람인 거 같냐고 물었습니다. 친구들은 모두 하나 같이 ‘지브인’이라고 대답했죠. 브랜더 지브인은 속으로 너무 기뻤고 그날 술값을 자신이 내겠다고 합니다.
위의 상황으로 짐작했을 때 좀 더 온전한 브랜딩을 정의한다면
[7]
‘우리 내부고객(=팀원 or 개인)이 정립한 브랜드의 정체성과 외부고객이 인식하는 브랜드 간의 간극을 좁히기 위한 과정’ 이라고 생각한다.
[8]
그렇기 때문에 브랜딩도 내부고객과 함께 해나가는 내부브랜딩과 외부고객과 소통해나가는 외부브랜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브랜딩을 할 때도 고객과 소통을 하는 외부브랜딩만 집중해서는 안되고 내부고객들과도 지속적으로 원래 방향성과 생각, 행동 등을 점검하는 등의 내부브랜딩에도 집중해야한다.
[9]
물론 이 2개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부분들도 있어 정확하게 나누긴 어렵지만 그럼에도 내부 브랜딩과 외부브랜딩
모두 꾸준히 일관성 있게 해야한다. 이 2가지 모두 집중했을 때 비로소 모두에게 공감받고 사랑받는 지속가능한 브랜드가 된다고 생각한다.
'브인다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인다움#18] 모든 사람들이 퍼스널 브랜딩을 해야하는 이유 (2) - 외부브랜딩 이점 (0) | 2022.09.28 |
---|---|
[브인다움#17] 모든 사람들이 퍼스널 브랜딩을 해야하는 이유 (1) - 내부브랜딩 이점 - (1) | 2022.09.26 |
[브인다움#15] 브랜드 미션, 약속, 슬로건 이들의 관계 (0) | 2022.09.21 |
[브인다움#14] 브랜드 제작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 (0) | 2022.09.19 |
[브인다움#13] 전문가는 실험을 통해 탄생한다 (0) | 2022.09.17 |